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ws #modernization #eks #k8s
- 쿠버네티스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pull
- Python3 #PEP
- Python #PEP
- pyenv
- 카프카
- Exception
- nodeport
- k8s
- Git
- merge
- trino #hive #sync
- crossfit_geeks #크로스핏 #crossfit #당산크로스핏 #크로스핏긱스 #running #역도 #오운완 #크로스핏터 #Django가 고장날때까지
- til #loguru #str #format
- Trino
- Glossary #Python
- Push
- 타입 #type
- fetch
- Today
- Total
Django가 고장날때까지

0. 지난주 calico cni 에 이어서, cluster ip, service, nodeport를 통해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쿠버네티스 pod간의 네트워크 통신에 대해서 살펴봤고, 별도로 설치한 cni가 해주는 역할이 아닌 kube-proxy(구성요소)가 실제적으로 iptable읕 통해서 커널단에서 해주는 역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게 되었다. 1. 4주차 수업 듣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개념- 리눅스 커널- iptable- conntrack- SNAT, DNAT- L4 스위치- /32 라우팅 /128 라우팅 # 3주차 개념 중복 - 리눅스 커널 리눅스 커널(Linux Kernel)은 리눅스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리눅스 커널의 개념을 ..

flannel에 이어서 이번에는 calico cni에 대해서 살펴봤다.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봤고, overlay 네트워크를 왜 사용하고, aws랑 azure가 어떻게 다른 부분이 있는지도 알게되고, 2주차와 비교했을때는 크게 달라지는 내용은 없었지만, 세부적인 디테일이나, 네트워크 지식들이 더 필요해져서. 한번 놓치면 힘들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강의 영상만 총 2번씩 봤다..... ㅜㅜ 조금 더 효율적으로 정리하는 법을 연구해야겠다 ㅜㅜ 스터디 실습과정에서 알게된 개념 라우팅 Logest Match Rule Blackhole Link Local 주소 https://backendbrew.com/ko/docs/internet/link-local # 169.254.1.1 # link loc..

네트워크 스터디 2주차 지난 주 복습. 종호님이 한 번 흐름을 놓치면 따라 올 수가 없다고 하셔서, 지난주에 배운 주요 개념을 다시 랩업했고, 2주차에는 격리된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 개념이 또 다시 활용되었다. 지난번에는 도커 단에서 리눅스, 도커 관점에서 살펴봤다면, 이번에는 쿠버네티스 까지 영역을 확장한다. 스터디의 초점이 우선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쿠버네티스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룰 수 없고, 네트워크 관점에서 중요한 부분을 살펴볼려고한다. 쿠버네티스에서는 kube-proxy라는 녀석이 컨테이너의 네트워킹을 담당하고, 우리가 쿠버네티스 운영과정에서 사용했던 kubelet 명령어로 어떤 일들이 일어나는지 자세하게 배워보자. ====================================..